• 최종편집 2025-02-06(목)
  • 전체메뉴보기
 
  • 대중교통 미운행 지역 주민 위한 맞춤형 교통 복지서비스
임실군, 행복콜 버스·택시로 교통 소외지역 주민 이동권 보장
[대한뉴스(KOREANEWS)] 임실군이 운영 중인‘행복콜 버스‧택시 사업’이 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행복콜 버스‧택시는 대중교통이 운행되지 않는 농어촌 지역 주민들을 위한 맞춤형 교통 복지서비스로, 마을 주민들이 읍‧면 소재지나 전통시장 등을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행복콜 버스는 35개 마을, 행복콜 택시는 47개 마을에서 운영 중이며, 지역 주민들의 필수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행복콜 버스는 이용 1시간 전 행복콜센터를 통해 예약하는 수요응답형 시스템으로, 주중에 운행되며 주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있다.

행복콜 택시는 마을회관에서 버스 승강장까지 500m 이상 떨어진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하며, 매주 월요일과 장날에 운행된다.

주민들은 경제적인 부담도 덜 수 있다. 행복콜 버스 요금은 일반 1,000원(학생 500원), 행복콜 택시는 대당 2,000원으로 매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운행 시작 이후, 행복콜 버스‧택시는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과 만족도를 크게 높이며 필수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장날을 기준으로 시장을 찾는 어르신들, 병원 진료를 위해 읍‧면 소재지로 이동하는 주민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강진면에 거주하는 김OO 씨는“예전에는 버스가 없어서 전통시장이나 병원을 방문하려면 이웃이나 자녀에게 부탁해야 했는데, 이제는 행복콜 버스‧택시 덕분에 스스로 편하게 다닐 수 있어 정말 감사하다”고 전했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행복콜 버스‧택시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일상의 자유를 되찾아준 서비스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군은 행복콜 사업 운영 초기 시범운행을 거쳐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현재까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왔다.

앞으로도 주민들의 이동 불편을 줄이고 행복콜 버스‧택시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을 이어갈 계획이다.

심 민 군수는“행복콜 버스‧택시가 교통 오지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교통 복지서비스로 자리 잡았다”며“앞으로도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교통 여건을 개선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임실군, 행복콜 버스·택시로 교통 소외지역 주민 이동권 보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