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 고립 가구 발굴 및 유형별 맞춤 극복 지원
[대한뉴스(KOREANEWS)] 창원특례시 의창구는 사회 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사회적 고립 가구에 극복 지원책을 펼쳐 지역사회에 따뜻한 공동체를 구성하고, 사회구성원 모두가 상생 발전하는 맞춤 지원을 통해 상생의 가치를 실현한다.
◆ 사회적 고립 가구 발굴 및 유형별 맞춤 극복 지원
의창구는 경제난과 사회적 단절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된 가구뿐만 아니라 소외와 고립이 우려되는 취약계층도 함께 극복을 지원한다.
먼저, 고립감과 외로움으로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중장년 1인가구 맞춤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중장년 1인가구 마음소통 지원 사업’은 사회적 단절 고위험군 20세대를 대상으로 소통꾸러미 전달과 안부 확인, 창원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립적인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고독사 위험 등 사회적 고립 확률이 높은 주거취약가구에도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구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한다.
작년까지 주거취약계층 5세대에 3000만 원의 민간후원을 받아 집수리 사업을 추진한 바 있으며, 지역주민의 재능기부와 나눔활동 참여가 따뜻한 공동체 문화 확산에도 기여할 것이다.
◆ 납세와 절세 맞춤 서비스로 재정 안정성 확립
의창구는 관내 대규모 지식산업센터에서 납세와 절세 관련 맞춤 코칭서비스를 통해 지역과 기업의 상생도 이끈다.
입주기업의 납세 불이익은 예방하고 세정 신뢰도는 향상시키는 맞춤 서비스를 통해 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이 시의 재정 안정성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한편, 납부자의 수신 신청 없이 체납내역을 전자 송달하는 방식의 ‘카카오 알림톡 활용 지방세 안내 서비스’도 실시한다.
구민에게 카카오를 통한 편리한 납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세입징수 확대와 종이사용 감소로 인한 예산절감 효과도 거둘 계획이다.
해당 서비스는 작년에 시범 운영하여 올해는 소액 체납자를 대상으로 하며, 개인정보 노출로부터 안전하고 본인인증만으로 문서를 열람할 수 있어 많은 대상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안제문 의창구청장은 “사회적 고립 가구가 없도록 세심하게 살펴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고, 구 전체의 유기적인 연결고리를 통해 지역사회가 발전하는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사회적 고립 가구 발굴 및 유형별 맞춤 극복 지원
의창구는 경제난과 사회적 단절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된 가구뿐만 아니라 소외와 고립이 우려되는 취약계층도 함께 극복을 지원한다.
먼저, 고립감과 외로움으로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중장년 1인가구 맞춤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중장년 1인가구 마음소통 지원 사업’은 사회적 단절 고위험군 20세대를 대상으로 소통꾸러미 전달과 안부 확인, 창원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립적인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고독사 위험 등 사회적 고립 확률이 높은 주거취약가구에도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구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한다.
작년까지 주거취약계층 5세대에 3000만 원의 민간후원을 받아 집수리 사업을 추진한 바 있으며, 지역주민의 재능기부와 나눔활동 참여가 따뜻한 공동체 문화 확산에도 기여할 것이다.
◆ 납세와 절세 맞춤 서비스로 재정 안정성 확립
의창구는 관내 대규모 지식산업센터에서 납세와 절세 관련 맞춤 코칭서비스를 통해 지역과 기업의 상생도 이끈다.
입주기업의 납세 불이익은 예방하고 세정 신뢰도는 향상시키는 맞춤 서비스를 통해 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이 시의 재정 안정성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한편, 납부자의 수신 신청 없이 체납내역을 전자 송달하는 방식의 ‘카카오 알림톡 활용 지방세 안내 서비스’도 실시한다.
구민에게 카카오를 통한 편리한 납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세입징수 확대와 종이사용 감소로 인한 예산절감 효과도 거둘 계획이다.
해당 서비스는 작년에 시범 운영하여 올해는 소액 체납자를 대상으로 하며, 개인정보 노출로부터 안전하고 본인인증만으로 문서를 열람할 수 있어 많은 대상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안제문 의창구청장은 “사회적 고립 가구가 없도록 세심하게 살펴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고, 구 전체의 유기적인 연결고리를 통해 지역사회가 발전하는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