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2-05(수)
  • 전체메뉴보기
 
  • 권리보장은 더하고 돌봄 부담은 덜고”
2024 장애인근로자 노래자랑
[대한뉴스(KOREANEWS)] 김해시는 장애인 복지 강화를 위해 전년대비 5.6% 많은 786억8,600만원을 투입해 지원한다고 4일 밝혔다.

올해 김해시 장애인 복지 시책의 핵심은 권리보장은 더하고 돌봄 부담을 덜어내는 데 있다.

▲중증장애인 장애인연금 인상 경제적 안정 지원= 저소득 중증장애인의 소득보장을 위한 장애인연금 급여액을 월 최대 43만2,510원 지급한다.

이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전국 소비자 물가변동률 2.3% 반영에 따른 기초급여액 인상을 반영한 것으로 중증장애인 중 소득 하위 70%가 장애인연금을 받을 수 있다.

올해 김해시의 장애인연금 대상자는 3,287명으로 예상되며 장애인연금 인상으로 저소득 장애인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 안정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지원 확대= 만18세 이상 등록장애인을 위한 공공일자리 6개 사업을 운영해 172명을 관내 행정복지센터, 복지시설, 은혜학교, 요양병원 등에 파견하고 있다.

특히 특수교육연계형 일자리와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사업으로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맞춤형 직무개발과 훈련을 병행해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보조기구나 보조인 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최중증장애인을 위한 권리중심 일자리 사업으로 최중증장애인의 일할 권리도 보장하고 있다.

또 6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121명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직업상담, 직업적응훈련, 작업활동 서비스를 제공하며 취업 기회 제공과 함께 직업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장애인에 적합한 생산·편의·부대시설을 갖추고 장애인을 일정비율 이상 고용한 장애인표준사업장 11곳에서 171명 장애인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지원해 사회 참여 확대, 소득 보장을 통한 자립을 도모한다.

특히 지난 1월 15일 김해시와 지역기업이 힘을 모아 ‘장애인 문화예술단’을 설립해 문화예술 분야 안정적인 장애인 일자리를 마련하려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장애인 생애주기형 돌봄체계 마련= 장애인 전 생애를 아우르는 맞춤형 돌봄체계 마련을 위해 장애인 활동지원사업 예산을 전년대비 39억1,800만원 증액했을 뿐 아니라 김해시 추가 지원 예산도 1억9,700만원 늘려 이용자들의 지원시간 부족에 따른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했다.

만6세 이상 부터 18세 미만 발달장애인을 위한 주간활동, 방과 후 활동서비스는 올해 제공기관을 추가 지정해 이용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장애아 가족을 위한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운영, 발달재활서비스, 부모 상담과 사례관리사업에 24억2,200만원을 투입해 장애인 당사자와 장애 가족에 힘이 되고자 노력한다.

특히 올해 신규사업 중 출산한 장애인가정에 대해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은 150만원,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만원을 지원해 장애가구의 출산 부담을 줄여준다.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최중증발달장애인(지적·자폐성장애)에 대한 일상생활훈련, 자립생활 지원 등 이용자의 욕구와 선택에 기반한 1대1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발달장애인의 주간 활동을 적극 지원한다.

또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장비 보강, 장애인종합복지관 냉·난방기 교체 공사를 2월부터 시작해 상반기 조기 설치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홍태용 시장은 “김해시에 거주하는 장애인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더 두텁고 촘촘한 장애인 복지정책을 추진해 모두가 행복한 김해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해시 787억 투입 장애인 복지 강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