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2025년 제1회 청년정책조정위원회’개최
[대한뉴스(KOREANEWS)] 울산시는 2월 4일 오후 3시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2025년 제1회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해 위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울산시 청년정책 시행계획’ 심의와 ‘울산청년지원센터 운영계획’ 보고 등으로 진행된다.
이날 심의하는 ‘2025년 울산시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도전하는 청년, 도약하는 울산’을 이상(비전) 목표로 한다.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89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됐으며 사업비는 전년대비 521억 원이 증액된 총 1,716억 원이 투입된다.
분야별 사업을 보면 ▲일자리는 울산청년 구직지원금 사업 등 16개 사업(77억 원) ▲주거는 신정동 청년희망주택 건립사업 등 17개 사업(633억 원) ▲교육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추진 등 15개 사업(850억 원) ▲복지·문화는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 및 대학 스포츠 최강전 사업 등 26개 사업(145억 원) ▲참여·권리는 울산청년지원센터 운영 등 15개 사업(11억 원) 등이다.
특히 청년 및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신정동, 달동, 삼산동 등 도심 내 8개소에 청년희망주택 224호를 조성 중이며, 성안동 등 2개소에는 매입약정형 임대주택 120호를 준공하고 있다.
또한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행복주택 616호가 매곡산단 등 3개소에 건립되고 있어, 젊은 세대를 위한 안정적 주거 기반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주요 신규사업으로는 청년친화 강소기업 선정 지원사업, 가족돌봄청년 지원사업,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사업과 대학스포츠 최강전 등이 추진된다.
2025년 울산시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울산시 청년정책플랫폼 유-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청년은 지역사회의 미래를 이끌어갈 주체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라며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취업지원, 창업지원, 주거안정 정책 등 다양한 지원방안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들은 청년들이 안정적인 생활을 기반으로 꿈과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울산광역시 청년정책조정위원회는 △ 울산시장 및 청년정책 유관 실국장 6명의 당연직 위원과 △청년정책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거나 청년단체에서 활동 경험이 풍부한 24명의 위촉직 위원 등 총 30명으로 구성됐으며 위촉위원 가운데 23명을 청년으로 위촉하고 활발한 정책 참여를 지원하고 있다.
주요 역할은 청년정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에 대한 심의, 청년정책 시행을 위한 관련 사업의 조정 및 협력 등이다.
위원회는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해 위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울산시 청년정책 시행계획’ 심의와 ‘울산청년지원센터 운영계획’ 보고 등으로 진행된다.
이날 심의하는 ‘2025년 울산시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도전하는 청년, 도약하는 울산’을 이상(비전) 목표로 한다.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89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됐으며 사업비는 전년대비 521억 원이 증액된 총 1,716억 원이 투입된다.
분야별 사업을 보면 ▲일자리는 울산청년 구직지원금 사업 등 16개 사업(77억 원) ▲주거는 신정동 청년희망주택 건립사업 등 17개 사업(633억 원) ▲교육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추진 등 15개 사업(850억 원) ▲복지·문화는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 및 대학 스포츠 최강전 사업 등 26개 사업(145억 원) ▲참여·권리는 울산청년지원센터 운영 등 15개 사업(11억 원) 등이다.
특히 청년 및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신정동, 달동, 삼산동 등 도심 내 8개소에 청년희망주택 224호를 조성 중이며, 성안동 등 2개소에는 매입약정형 임대주택 120호를 준공하고 있다.
또한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행복주택 616호가 매곡산단 등 3개소에 건립되고 있어, 젊은 세대를 위한 안정적 주거 기반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주요 신규사업으로는 청년친화 강소기업 선정 지원사업, 가족돌봄청년 지원사업,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사업과 대학스포츠 최강전 등이 추진된다.
2025년 울산시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울산시 청년정책플랫폼 유-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청년은 지역사회의 미래를 이끌어갈 주체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라며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취업지원, 창업지원, 주거안정 정책 등 다양한 지원방안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들은 청년들이 안정적인 생활을 기반으로 꿈과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울산광역시 청년정책조정위원회는 △ 울산시장 및 청년정책 유관 실국장 6명의 당연직 위원과 △청년정책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거나 청년단체에서 활동 경험이 풍부한 24명의 위촉직 위원 등 총 30명으로 구성됐으며 위촉위원 가운데 23명을 청년으로 위촉하고 활발한 정책 참여를 지원하고 있다.
주요 역할은 청년정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에 대한 심의, 청년정책 시행을 위한 관련 사업의 조정 및 협력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