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구연한(10년) 지난 장비 7대 교체
[대한뉴스(KOREANEWS)] 충북 진천군이 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노후화된 자동심장충격기(AED)를 교체한다.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응급장비로 권장 내구연한이 약 10년이다.
이에 군은 지난해에 이어 덕산보건지소, 초평보건지소, 백곡, 이월, 광혜원보건지소, 사석, 용덕보건진료소 등 7대의 내구연한을 초과한 기기를 교체한다.
2024년에는 문백보건지소, 선옥, 오갑, 용산, 사양, 신월보건진료소 등 6대의 교체를 완료했다.
박소연 군 보건행정과 주무관은 “응급 상황에서 자동심장충격기의 적기 사용은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장비의 내구연한을 철저히 파악해 교체함은 물론 주민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지역 내 설치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정보제공(E-Gen)’ 앱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 앱은 활용하면 사용자 주변의 자동심장충격기 위치를 실시간으로 찾을 수 있다.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응급장비로 권장 내구연한이 약 10년이다.
이에 군은 지난해에 이어 덕산보건지소, 초평보건지소, 백곡, 이월, 광혜원보건지소, 사석, 용덕보건진료소 등 7대의 내구연한을 초과한 기기를 교체한다.
2024년에는 문백보건지소, 선옥, 오갑, 용산, 사양, 신월보건진료소 등 6대의 교체를 완료했다.
박소연 군 보건행정과 주무관은 “응급 상황에서 자동심장충격기의 적기 사용은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장비의 내구연한을 철저히 파악해 교체함은 물론 주민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지역 내 설치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정보제공(E-Gen)’ 앱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 앱은 활용하면 사용자 주변의 자동심장충격기 위치를 실시간으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