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2-05(수)
  • 전체메뉴보기
 
  • 제주지하수연구센터, 여섯 번째 소식지 발간
제주연구원
[대한뉴스(KOREANEWS)] 제주연구원 제주지하수연구센터는 지난 12월 여섯 번째 《잇-수다(水多)》소식지를 발간했다.

이번 호에서는 용천수의 용출 형태 분류와 그에 따른 특성 분석, 북부 에 위치한 4개의 용천수와 5개의 지하수 관정을 대상으로 연령 해석, 함양고도 산정, 이화학적 분석 등을 수행한 ‘제주 용천수: 용출 특성과 물순환’, 데이터 기반의 지하수 내 질산성질소 농도를 예측하여 제주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빅데이터 기반 제주지하수 오염 예측 기법 연구’, 구좌읍과 한림읍, 한경면의 숨골 3개소를 대상으로 수행한‘제주도 수리지질 특성이 빗물 숨골 유입에 미치는 영향 해석’의 결과를 수록했다.

그리고 제주 중산간 지역의 고유한 물 문화인‘봉천수’에 대한 이해와 그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글을 소개했다.

또한, 중국 윈난성 리장고성의 해외사례조사와 가축분뇨 정화처리 우수시설 견학 등 현장을 기반으로 조사한 내용을 간추렸으며, 끝으로 상수도 보급 이전 한림읍 지역 사람들의‘물 이용 역사・문화 구술채록’결과를 간략히 정리했다.

센터는 연 2회 발행되는 소식지《잇-수다(水多)》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주지하수 관련 정보와 연구 동향 등의 소식을 전하고자 하며, 소식지는 도내외 도서관, 연구기관, 관련 단체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

《잇-수다(水多)》6호는 제주지하수연구센터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제주연구원 제주지하수 보전을 위한 다양한 접근, ‘잇-수다(水多)’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