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년보다 8일 앞당긴 1월 24일부터 5월 15일까지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지정, ‘산불방지 대책본부’ 24시간 비상 근무체제 돌입
[대한뉴스(KOREANEWS)] 서울 성동구가 16년 연속 산불발생 제로(zero)를 목표로 ‘2025년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산불방지 비상체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구는 평소보다 긴 설 명절 연휴와 동해안 지역의 건조 현상 지속 등으로 인한 산불 대응 강화를 위해 예년보다 8일 앞당긴 1월 24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산불방지 대책본부’를 가동한다.
‘산불방지 대책본부’는 비상근무조를 편성해 주말, 휴일에 상관없이 24시간 비상 근무하며, 산불 예방 및 산불 발생 시 초동대처에 나선다. 산불 진화 차량은 만수 상태를 유지하고, 등짐펌프 등 진화 장비를 주요 산지형 공원에 비치하여 산불 발생 시 즉각 출동할 수 있도록 상시 대응 태세를 갖췄다. 또한 공무원 및 자율방범대로 구성된 진화대를 편성해 체계적인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산불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산불방지 시설과 진화 장비에 대한 일제 점검도 마쳤다. 산불감시용 블랙박스를 추가 설치해 산불감시 사각지대를 해소할 예정이며, 산불 발생 시 신속하게 고압수관을 연결하여 초기 진화할 수 있도록 장비 보관함도 별도 설치할 계획이다.
비상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소방·군·경, 산림항공대와도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했다. 등산객을 대상으로 담뱃불 등 실화 방지를 위한 올바른 산행 수칙을 홍보하는 등 매달 산불 예방 캠페인을 추진하는 한편, 성동소방서 등 유관기관 및 주민 간 합동 산불 진화 훈련도 실시할 예정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봄철 산불로부터 구민의 재산과 생명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24시간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하는 등 대비를 철저히 하고 있다”라며, “산에서의 흡연 행위, 화기 소지 등을 삼가는 등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리며, 앞으로도 소중한 산림자원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는 평소보다 긴 설 명절 연휴와 동해안 지역의 건조 현상 지속 등으로 인한 산불 대응 강화를 위해 예년보다 8일 앞당긴 1월 24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산불방지 대책본부’를 가동한다.
‘산불방지 대책본부’는 비상근무조를 편성해 주말, 휴일에 상관없이 24시간 비상 근무하며, 산불 예방 및 산불 발생 시 초동대처에 나선다. 산불 진화 차량은 만수 상태를 유지하고, 등짐펌프 등 진화 장비를 주요 산지형 공원에 비치하여 산불 발생 시 즉각 출동할 수 있도록 상시 대응 태세를 갖췄다. 또한 공무원 및 자율방범대로 구성된 진화대를 편성해 체계적인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산불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산불방지 시설과 진화 장비에 대한 일제 점검도 마쳤다. 산불감시용 블랙박스를 추가 설치해 산불감시 사각지대를 해소할 예정이며, 산불 발생 시 신속하게 고압수관을 연결하여 초기 진화할 수 있도록 장비 보관함도 별도 설치할 계획이다.
비상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소방·군·경, 산림항공대와도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했다. 등산객을 대상으로 담뱃불 등 실화 방지를 위한 올바른 산행 수칙을 홍보하는 등 매달 산불 예방 캠페인을 추진하는 한편, 성동소방서 등 유관기관 및 주민 간 합동 산불 진화 훈련도 실시할 예정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봄철 산불로부터 구민의 재산과 생명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24시간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하는 등 대비를 철저히 하고 있다”라며, “산에서의 흡연 행위, 화기 소지 등을 삼가는 등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리며, 앞으로도 소중한 산림자원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