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층(만 25~34세) 고등교육 이수율은 70.6%(’24년)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

OECD는 「OECD 교육지표」를 통해 교육 전반에 관한 국제 비교 자료를 매년 제공하여 회원국들이 교육정책 수립 및 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OECD 교육지표 2025」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교육에 투자된 재정적 자원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 2022년 기준
2022년 우리나라 초등~고등교육 전 단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5.6%로 2021년보다 0.4%p 증가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4.7%로 2021년 대비 0.5%p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초·중등교육 단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4.0%로 2021년 대비 0.6%p 증가하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한편, 고등교육 단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0.6%로 2021년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2022년 기준
2022년 우리나라의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19,805로 2021년보다 24.9%($3,947↑)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초·중등교육 단계의 경우, 초등 $19,749, 중등 $25,267로 2021년 대비 각각 32.8%($4,876↑), 30.9%($5,968↑)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고등교육 단계의 경우 $14,695로 2021년 대비 8.3%($1,122↑) 증가했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2. 교사, 학습환경 및 학교조직
교사 1인당 학생 수 및 학급당 학생 수 : 2023년 기준
2023년 우리나라의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5.3명, 중학교 12.8명, 고등학교 10.5명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2022년* 대비 감소했으며, 중·고등학교의 경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2023년 우리나라의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1.6명, 중학교 25.7명으로 2022년 대비 감소했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았다.
국·공립학교 교사의 법정 급여 : 2024년 기준
2024년 우리나라 국·공립학교 초임교사의 법정 급여는 $37,773로 2023년* 대비 증가했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2024년 우리나라 국·공립학교 15년차 및 최고호봉 교사의 법정 급여는 $65,765 및 $104,786로 2023년* 대비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았다.
3. 교육에의 접근·참여와 진학
연령별 취학률 : 2023년 기준
2023년 우리나라의 연령별 취학률은 만 3세 97.9%, 만 4세 94.9%, 만 5세 94.8%, 만 6~14세 98.6%, 만 15~19세 87.2%로 만 5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았다.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비율 추이 : 2013, 2018, 2023년 기준
2023년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비율은 4.6%로 2013년부터 증가하는 추세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체보다 낮았다.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국적별 분포 : 2023년 기준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에서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 중 아시아 국적을 가진 학생의 비율은 94.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체보다 높았다.
2023년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국적별 분포 비율은 아프리카 1.9%, 아시아 94.4%, 유럽 2.0%, 라틴아메리카 0.6%, 북아메리카 1.1%, 오세아니아 0.1%이다.
4.교육기관의 산출 및 학습 효과
고등교육 이수율 : 2024년 기준
2024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56.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고, 특히 청년층(만 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70.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
교육단계별 고용률 : 2024년 기준
2024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의 전체 교육단계 고용률은 76.1%로 2023년보다 0.3%p 증가했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교육단계별 상대적 임금 : 2023년 기준
2023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의 교육 단계별 상대적 임금(고졸자 임금=100 기준)은 전문대학 졸업자 109.9%, 대학 졸업자 132.5%, 대학원 졸업자 176.3%로, 2022년보다 상대적 임금 격차가 증가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누리집에 9월 중 탑재될 예정이며,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OECD 교육지표 2025」 번역본을 12월 중 발간하여 교육통계서비스 누리집에 공개할 계획이다.
ⓒ 대한뉴스(KOREANEWS) & korea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울산교육청, 교육공무직 정년퇴직자 69명 표창 수여
울산광역시교육청은 27일 오후 3시 외솔회의실에서 9월 1일 자 교육공무직 정년퇴직자들에게 교육감 표창을 수여했다. 이번 표창 대상자는 10년 이상 근무하고 정년퇴직하는 교육공무직으로 11개 직종 69명이다. 직종별로는 급식종사자 50명, 돌봄전담사 4명, 전문상담사 3명, 교육업무실무사 3명, 행정실무사 1... -
세종시교육청, 제3회 부교육감-늘봄지원팀장 간담회 실시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은 28일에 나성동 마이스센터에서 늘봄지원팀장 23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회 부교육감-늘봄지원팀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월과 3월에 이어 세 번째로 열리는 부교육감 주재 간담회다. 간담회에서는 2025학년도 2학기 학교별 늘봄학교 준비 및 운영 사항을 공유하고, ▲참여 ... -
울산교육청, 9월 1일 자 초등 신규교사 임명장 수여
울산광역시교육청은 27일 오후 2시 집현실에서 9월 1일 자 초등 신규교사 임명장 수여식을 열고 신규 임용자 52명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신규 교사들은 근무 희망지와 생활 근거지를 고려해 일부 지역이나 학교에 편중되지 않도록 고르게 배치됐다. 이번에 임명장을 받은 신규교사들은 “공직에 첫발을 내딛는 만... -
전남교육청, 기숙사 학생 생활지도 전문성 강화
전라남도교육청은 27일 ‘2025 기숙사 사감 역량강화 온라인 연수’를 실시했다. 도내 기숙사 사감 242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수는 기숙사 사감의 전문성과 학생 생활지도 능력을 높이고, 학생 정서 지원을 위한 소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전라남도학교비정교직노동조합과의 직종 교섭에서 제시된 현... -
의성교육지원청, 찾아가는 놀이터, 유아들에게 웃음과 상상의 날개를 달다
경상북도의성교육지원청은 8월 27일, 28일 이틀간 의성학생체육관에서 관내 유아 약 85명을 대상으로 '2025년 찾아가는 놀이터 유치원 놀이체험학습'을 운영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사랑의 열매’와 ‘경북여성정책개발원’이 주최하고,‘프리플레이버스’와‘의성교육지원청’이 공동주관하여 마련된 행사로, 놀이 인프라가... -
경북교육청, 민원업무 실무역량 강화 교육
경북교육청은 27일 본청 행복지원동에서 도내 교육지원청 민원업무 담당자 30여 명을 대상으로 정보공개, 행정정보 공동이용 및 국민신문고 관련 업무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민원의 다양화와 증가에 따른 교육지원청 업무담당자의 전문성 강화와 민원 만족도 제고를 위해 마련됐으며, 민원행정 실무 전반에 ...